직장인 평균 퇴근시간 및 출근시간
'출근도 안했는데 퇴근하고 싶다'
모든 직장인들이 일어나는 순간부터 드는 생각인데요. 특히 우리나라처럼 근무시간이 천차만별로 존재하는 나라도 흔치 않습니다. OECD국가중 1주간 노동시간이 상위권(약 50시간)에 속해있는 만큼 노동자들의 희생이 적지 않은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 평균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은 얼마나 될까요? 자료는 고용노동부자료와 언론자료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출근시간은 정시 23분전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9시 출근일 경우 8시 37분 전후로는 직장에 도착한다는 것이죠. 대기업일수록 업무시간 전 30분에는 더 많은 직원이 이미 직장에 도착하는 경우를 보여줬습니다. 아무래도 대기업에 경우 제 발로 나가는 퇴사율이 적다보니 되도록 좋은 이미지 세팅이 필요하여 출근시간도 자발적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줬습니다.
중소기업에 경우에는 출근시간이 더 타이트했습니다. 업무시작 전 16분으로 대기업보다는 좀 더 '느긋하게' 출근하는 직장인이 많았습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전날 야근 또는 회식 등 여러가지 이유에서 중소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좀 더 늦은 출근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퇴근시간은 업무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보편적으로 6시가 정시퇴근시간이라면 부리나케 바로 나가시는 분들은 거의 없었습니다. 약속이 있거나 특별한 날일 경우 칼퇴를 하는 경우도 아주 종종 있겠지만, 대부분 30-40분간에 업무정리 및 눈치타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근시간이 개인적인 사유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라면 퇴근시간은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장 내에 사건과 상사의 눈치, 잔업, 그냥 뭔가 집가기 뭣한 느낌 등 다양한 의견에 의해 퇴근시간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했습니다.
아마도 출근시간전 30분, 퇴근시간 후 30분씩 업무를 보고 계시다면 일주일로 봤을 때 약 5시간에 업무를 더하고 계신것이죠. 참 억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퇴근 전후 시간을 더했을 때를 놓고본다면 OECD국가 중 업무시간은 최상위권에 속하게 되죠. 또한 아직도 중소기업에서는 노동력 착취를 당하거나 별다른 추가수당도 받지 못한 채 고된 노동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법적인 강화가 이뤄져 노동법을 준수도록 만든다고는 하지만 실효성은 아직도 의문부호가 따릅니다. 지금까지 모든 정부가 추친했었지만 언제나 사각지대는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으로 태어나면 일을 통해 자신의 꿈과 희망을 키워나가는 것이 당연하지만, 바보처럼 착취 당하거나 이용당해서는 결코 안돼겠습니다. 직장 생활을 하시는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 이상으로 평균 직장인 퇴근시간 및 출근시간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 ▶각종정보 > 생활/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잉어 나오는 꿈- 길몽 태몽 풀이 및 해석 (0) | 2018.10.19 |
---|---|
가장 빠른 새 - 지구 세상에서 존재하는 TOP3 (3) | 2018.10.15 |
가장 높이나는 새 - 신천옹에 대해 (0) | 2018.10.11 |
오늘 뭐 입지? - 기온별 적절한 옷차림 정리 (0) | 2018.10.10 |
DELL G5 15 5587 D627I5587505KR 스펙 사양 배그 (0) | 2018.10.09 |
가을웜톤 쿨톤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깔은? (0) | 2018.10.08 |
거북이 나오는 꿈 해몽 및 풀이 의미는? (0) | 2018.10.06 |
이터니움 디아블로느낌나는 모바일게임! (0) | 2018.10.05 |